20200518_인본주의이론 from.칼 랜섬 로저스
인본주의 이론의 개관
1. 자유로운 존재 : 성장가능성 실현과정에서 인생목표와 방향을 스스로 결정, 책임을 수용.
2. 합리적인 존재 : 본성이 합목적적, 전진적, 건설적, 현실적이며,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
3. 전체론적 관점 : 인간은 통합된 유기체로서 행동
4. 주관적 경험론 : 개인의 내적 준거체계에 대한 이해 필요
5. '지금 여기에'를 강조.
[현상학적 장(개인의 세계)]
경험적 세계, 주관적 세계
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의미
현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거 경험이 아니라 과거 경험에 대한 현재의 해석
인간행동의 의미 이해
-현실을 어떻게 체험하고 있는가를 알아야 함
-현재를 이해하기 위해 과거를 알 필요는 없음
자아
현실 자아 : 현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식
이상적 자아 : 앞으로 어떤 존재가 되기를 원하는 지에 대한 인식
자아-부조화
주관적 경험(현재의 경험) - 불일치 - 자아구조
자아가 사용하는 기본적 방어기제
지각의 왜곡 : 현재의 자아상과 일치하는 형태로 현재의 경험 왜곡
부정 : 위험한 경험이 의식화되는 것을 회피하여 자아상을 유지.
인간의 본질적 추구 : 자기를 유지하고 증진하며 실현하려는 선천적 욕구
인간의 발달과정 : 환경과의 상호작용응 통해 형성, 분화, 복잡화
긍정적 관심 : 건강한 성격의 발달을 위한 첫째 조건.
[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]
증상 : 개인의 자아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괴리가 심각 -> 불안 경험
심리적 건강 : 훌륭한 삶의 성격 =>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.
1) 경험에의 개방성 // 방어적인 삶
2) 실존적인 삶 // 대부분 전에 부모로부터 습득한 방식대로 삶.
3) 자신의 유기체에 대한 신뢰 // 유기체의 불신
4) 자유감 // 조작되는 느낌,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음.
5) 창조성 // 일상적이고 틀에 박힌
치료목표 : 내담자의 자아개념과 유기체적 경험 간의 불일치를 제거
치료자의 역할 : 역할이 없는 상태
치료적 기법 : 촉진적 치료관계
1) 일치성 또는 진실성
2)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과 수용
3) 감정이입적 이해와 경청